1. 겨울철 필수템 ‘전기장판’, 정말 안전하게 쓰고 있나요?
날씨가 쌀쌀해지면 전기장판부터 꺼내게 되죠.
하지만 편리한 만큼, 화재나 화상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요.
전기장판 사고 주요 원인:
- 장시간 고온 사용 → 저온 화상
- 접힌 상태에서 사용 → 과열 및 화재 위험
- 오래된 제품 or 인증 없는 저가형 사용
- 이불, 매트 등으로 덮어 환기 막힘
전기장판은 잘 사용하면 따뜻하고 경제적이지만,
관리와 사용법을 잘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2. 전기장판 안전 사용 꿀팁 7가지
① 전기장판 ‘펴서’ 사용하기 (접힘 금지)
- 접힌 상태에서 사용하면
히터 선이 눌려 과열 발생 - 특히 모서리나 중간 이음부에서 화재 발생률 ↑
✅ 펴서 완전 평탄하게 사용해야 안전!
② 저온화상 예방: ‘고온 장시간 사용 금지’
- 체온보다 조금 높은 온도에서도
장시간 접촉 시 저온화상 발생 가능 - 특히 아이, 노약자, 당뇨병 환자 주의 필요
✅ ‘중간 온도 + 타이머 설정’으로 관리
③ 온도조절기 멀리 두고, 주기적 점검
- 조절기 과열, 파손된 콘센트 = 화재 위험
- 먼지 끼거나 눌리지 않도록 관리
- 전원선 꺾임, 끊김 있는지 1년에 한 번 이상 점검
✅ 조절기 위에 이불 덮지 말 것!
④ 매트, 전기장판, 이불 순서 맞추기
- 바닥 → 전기장판 → 얇은 요 → 사용자 → 이불 순
- 두꺼운 이불 아래 전기장판 덮으면 열기 갇혀 과열 위험
✅ “열이 위로 빠질 수 있는 구조”로 배치하기
⑤ 외출 시 반드시 전원 OFF
- 외출·취침 중에는 타이머 기능 or 직접 끄기
- “한 번 실수로도 화재 발생 가능성 있음”
✅ 절전 멀티탭 활용도 추천
⑥ 세탁은 절대 금지! (세탁기 넣으면 안 됨)
- 전기장판은 내부 발열선이 있어 물 접촉 시 고장 및 감전 위험
- 커버 분리형 제품만 커버만 세탁 가능
✅ 오염 시에는 물기 적신 천으로 표면만 닦기
⑦ KC 인증 제품만 사용
- 국가 인증(KC마크) 없는 저가형 제품은
절연 불량, 과열 차단 기능 부족 가능성 높음 - 제품 수명은 5~7년, 오래된 제품 교체 추천
✅ 구입할 땐 무조건 인증 마크 확인!
3. 전기장판 안전 사용 체크리스트
점검 항목 | 내용 |
---|---|
펴서 사용 | 접힌 상태 ❌, 평평하게 유지 |
온도 조절 | 고온 ❌, 중간 이하 설정 |
시간 조절 | 타이머 필수, 장시간 연속 사용 금지 |
배치 순서 | 바닥 → 전기장판 → 요 → 사용자 |
전기 점검 | 전선, 조절기, 콘센트 이상 여부 확인 |
인증 확인 | KC 인증 제품만 사용 |
외출/취침 시 | 반드시 전원 차단 |
4. 마무리 요약
전기장판은 따뜻하고 편리한 겨울 가전이지만,
사소한 방심이 화재·화상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.
핵심 요약:
- 전기장판은 펴서, 중간 온도로, 짧게 사용
- 저온화상 예방 위해 피부 장시간 접촉 피하기
- 타이머 설정 + 외출 시 전원 차단 습관
- KC 인증 확인하고, 5년 이상 된 제품은 교체 고려